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전주상공회의소

정책건의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에 ‘전북특별자치도’포함 건의
작성자 한용석 작성일 2025.04.25

. 도심융합특구 정책 추진 현황

최근 국토교통부는 향후 10년간의 중장기 발전전략과 범부처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착수보고회를 가짐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심에 산업·주거·문화가 융합된 복합혁신공간을 조성하고 청년·기업 유입을 통해 지역 성장거점으로 육성하는 국가전략사업임

이번 종합계획에는 도심융합특구법에 따른 기본목표와 함께 기회발전특구 연계 선도기업 유치 산업 네트워크 구축 기업·종사자 지원 재정지원 기준 거버넌스 체계 등 구체적 실행방안이 포함될 예정으로, 현재 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등 5대 광역시에 한정되어 정책이 추진되고 있음

 

. 전북특별자치도 현황 및 특구 지정의 타당성

전북특별자치도 현황

전북특별자치도는 광역시가 없다는 이유로 국가 전략사업에서 지속적으로 배제되어 왔음

2024년 기준, 청년 순유출 인원 7,570명에 달하며, 전북 14개 시·군 중 10곳이 인구소멸 위험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심각한 지방 소멸 위기에 처해 있음

이러함에도 도심융합특구 정책이 광역시 중심으로 제한되면서 전북은 제도적으로 소외되었고 이는 지역 간 격차 심화와 균형발전의 왜곡을 초래하고 있음

청년 유출과 지방 쇠퇴 극복이라는 도심융합특구의 취지에도 불구하고 정작 가장 절박한 지역이 정책적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특구 지정의 타당성

지난 422일 공포된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개정으로 전주·완주권이 광역교통권역으로서 법적 지위를 확보함에 따라 도심융합특구 지정 요건을 충분히 갖추게 되었음

전북의 지속적인 소외는 헌법 제122조 및 도심융합특구법1조에 명시된 국가균형발전을 통해 모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국가의 책무에 명백히 배치됨

 

. 건의사항

전북에 대한 도심융합특구 지정은 청년 유출 완화와 지역경제 회복, 도심 활력 제고에 기여함으로써 국가균형발전 정책 실현의 본격적인 전환점이 될 것임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전북특별자치도를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반드시 포함시켜 주실 것을 강력히 요청하오니 배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다음글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에 ‘전북특별자치도’포함 건의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북지역본부 관할 임대전용산업단지 철거이행보증금 인하 건의

전주상공회의소

(우)54969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76(사무국 7층 / 자격시험, 공동인증서 6층)

Copyright (c) 2017 jcci, All Right Reserved.